최근 카자흐스탄 해상 잠빌 광구에서 원유가 발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잠빌 DST 사진 2.jpg : 27.227KB

물론 경제성 여부를 판단할 단계는 아니라는 것이 여러 국내 보도를 통해 언급되었고, 파트너 측인 카작에서는 이 "발견"에 대해 어떤 관점을 가지고 있는지 궁금해서 구글링을 해보았다.

아래는 요약과 사견!


원문주소 

http://en.tengrinews.kz/industry_infrastructure/Oil-reserves-at-new-Kazakhstans-field-estimated-at-880-million-barrels-21653/

잠빌광구에 대한 전문가(라고 하기에는 직함들이 별로인 듯...)들의 의견을 모은 기사로 그다지 신빙성은 없어 보임

Murat Abulgazon (Senior Analyst of the Agency for Reserch of Investment Profitability)

    • 예비평가 결과, 카작의 신규 유전의 총 기대매장량이 약 8.8억배럴에 이름
    • Kumkol 유전(끼즐로다 주에 위치한 대형유전으로, 총 확인매장량이 3억배럴에 이르며, 현재 일일생산량은 8만배럴임)과 비교함
    • 참고로, Kumkol 유전은 최초매장량이 20억배럴이며, 그 중 9.5억배럴이 회수가능한 것으로 추정됨 매장량과 자원량의 구분없이 그냥 매장량으로 표현하고 있음
    • 이전 기사에서 Zhambyl 광구의 생산량이 일일 440 배럴에 이른다고 했는데 매우 좋은 수준, Kumkol의 경우 초기 생산량이 880에서 953배럴 수준
    • 1991년 이후 카자흐스탄에서 몇몇 유사한 유전들이 발견됨 Similar fields의 이미가 초기생산량인지 잘 모르겠음)
      1. Aktoty 유전 / 15억배럴 / 2003년 발견
      2. Kairan 유전 / 10억배럴 / 2003년 발견
      3. Kalamks-North 유전(해상) / 11억배럴 / 2002년 발견
      4. North Tuva 유전 / 7억배럴 / 2006년 발견

Sergey Smimov (Expert of the Institute of Political Solutions)

    • 원래 2005년부터 상업생산을 시작하려 했던 Kashagan 유전의 개발과정으로 미뤄보면, 잠빌의 상업생산은 7년에서 10년 내에야 가능할 것으로 전망 카샤간은 올해 상업생산 시작 예정
    • 잠빌은 Kashagan 이후 첫번째 성공적인 해상유전으로, 이제 카자흐스탄의 해상유전 개발 전망이 좋아짐 그럼 Kalamks-North는?

Dmitriy Baranov (Leading Expert of Finam Management)

    • 더 좋은 생산성을 보이는 생산정도 있으나, 잠빌의 일일생산량은 좋은 편임 
    • 예를 들어 Kumkol 유전에선 66개의 생산정을 2011년에 시추했고, 평균 일일생산량은 168 배럴이었음. 올해 시추한 Karakuduk Munai 유전의 2개 생산정은 평균 일일생산량 168 배럴임. 물론 East Kashagan과 West Kashagan의 첫번째 시추정의 경우 각각 일일생산량 3,518 배럴 및 3,152배럴이기도 했음. 육상유전인 Kumkol과 해상광구에서 시추공당 생산량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또라이같음
    • 현재 탐사가 진행중이며, 다른 유망구조도 발견할 가능성이 있으니 당장 잠빌의 개발이 착수되지는 않을 것임
    • 현재 잠빌은 석유집적의 지질학적 속성이나 매장량이 명확하지 않아 추가 투자/개발 타당성을 얘기할 순 없으나 확실한 건 수십억 달러가 소요되는 다른 대륙붕 개발 수준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프로젝트 정보

    • 잠빌 광구는 2004년 유망한 광구로 선정되었고 카작-한국 합작으로 탐사작업이 수행됨
    • 운영사 : KMG(KazMunaiGas)가 100%를 소유한 ZPL(Zhambyl Petroleum) 
    • 지하자원에 대한 권리(Subsoil right) : KMG 73%, KC Kazakh B.V.(한국컨소시엄) 27% 소유하고 있음
    • 광구위치 : 카스피해 북부
    • 광구면적 : 1,188 제곱킬로미터
    • 유망구조 : North-West, Zhetyssu, Kameralnaya, Abylaikhan
    • 유망지층 : Jurassic and Lower Cretaceous

※ 능력의 한계로 내용 및 번역의 정확도에 대해 책임지지 않습니다 아니 못합니다.

+ Recent posts